협심증의 정의
심장은 크게 3개의 심장혈관(관상동맥)이 있습니다. 동맥경화증, 혈전증, 혈관의 수축 및 연축 등의 원인에 의해 3개의 관상동맥 중 어느 한 곳에서라도 급성이나 만성으로 협착이 일어나는 경우 심장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혈류 공급이 감소하면서 산소 및 영양 공급이 급격하게 줄어들어 심장 근육이 이차적으로 허혈 상태에 빠지게 됩니다. 이러한 상황을 협심증이라고 합니다.
협심증의 형태
협심증에는 3가지 형태가 있습니다.
1. (만성)안정형 협심증
동맥경화증 때문에 만성적으로 협착이 생겨서 생기는 협심증
2. 불안정형 협심증
죽상경화병변이 파열되어 혈전이 생겨서 급작스럽게 협착이 심해져서 생기는 협심증
3. 변이형(이형성) 협심증
죽상경화병변이 별로 없음에도 불구하고 혈관의 연축에 의해 혈류 장애가 발생하여 초래되는 협심증
협심증 원인
관상동맥에 이상이 생기는 경우에는 심장, 보다 정확하게는 심장근육이 이차적으로 영향을 받아서 발생하는 것이 협심증입니다. 관상동맥의 가장 안쪽 층은 내피세포로 둘러싸여 있는데, 이 내피세포가 건강한 경우에는 동맥경화증이나 혈전 등으로 인한 협착 및 폐색이 잘 일어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내피세포가 손상되고 기능이 떨어지면 관상동맥 안을 흘러가던 혈액 속에 포함된 혈소판 및 대식세포가 활성화되면서 만성적으로 동맥경화증이 진행되고, 추가적으로 동맥경화반이 파열되면 급성으로 혈전증이 생기게 됩니다. 이러한 협착에 의해 관상동맥의 70% 이상이 막히게 되면 심근의 일부가 허혈 상태에 빠지게 되고 관상동맥의 혈류가 원활하지 않아 흉통 등의 증상을 일으키는 협심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협심증의 주요 증상
협심증을 겪는 사람들은 대부분 급성 통증 또는 운동이나 활동 시에 발생하는 통증을 호소합니다.
대부분 '가슴이 쥐어짠다', '가슴이 싸한 느낌이 든다' 등의 증상이 있으며 주로 가슴의 정중앙 또는 약간 좌측 부위에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증상 없이도 '명치가 아프다' 또는 '턱끝이 아프다'라고 호소하는 경우도 있고 가끔은 '속이 아프다', '가슴이 쓰리다' 등의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흉통은 호흡곤란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으며, 좌측 어깨 또는 좌측 팔의 안쪽으로 퍼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대개는 운동이나 활동을 할 때 감정적인 스트레스를 받을 때 유발되는 경우가 많지만 관상동맥의 협착 정도가 아주 심하거나 급성으로 혈전이 생기는 경우에는 휴식 시에도 유발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는 특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흉통의 지속시간은 보통 5분 이내이며 30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또한 급성 심근경색증과는 달리 니트로글리세린 설하정을 혀 밑에 투여하면 통증이 호전되거나 소실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끔은 흉통을 호소하면서 갑작스런 실신이나 심장마비로 응급실에 내원하는 경우도 있는데 대부분 급성으로 넓은 부위에 걸쳐서 심근 허혈이 발생하는 경우입니다.
협심증 치료방법
협심증의 치료는 크게 약물치료와 협착이 심한 혈관을 넓혀주는 관혈적 치료로 나눕니다.
협심증 중에서 최근 통증이 심해지거나 휴식 시에도 통증이 있는 경우, 즉 불안정형 협심증은 심근경색증의 바로 전 단계이기 때문에 심근경색증 수준으로 치료 및 관리를 받아야 합니다. 따라서 최근에는 불안정형 협심증과 심근경색증의 병태생리가 같다고 하여 급성 관동맥 증후군으로 명칭이 통일되었습니다.
심혈관성형술 및 스텐트삽입술은 요골 또는 대퇴동맥을 통하여 심혈관조영술을 시행하여 폐색 또는 협착된 혈관을 찾아낸 후 혈관 안으로 도관을 삽입하여 풍선과 스텐트라는 철망을 이용하여 혈관을 넓히는 시술입니다. 대부분의 병원에서 1주일 이내에 퇴원할 수 있으며 빠르면 이튿날 퇴원이 가능합니다. 또한 혈관이 매우 좋지 않거나 심혈관성형술 및 스텐트삽입술을 시행하기에 적절하지 않은 경우에는 관상동맥우회로 수술이 좋습니다.
협심증에 대한 약물치료는 향후 협심증이 재발하지 않고 심근경색증으로 발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중점을 맞춥니다. 또한 스텐트를 삽입한 경우에는 혈관 내 스텐트에 치명적인 혈전이 생겨서 혈관이 다시 막히는 상황을 예방하는 것도 약물치료의 목적입니다. 대부분의 환자들은 아스피린을 포함하여 심장 보호 효과가 부가적으로 있는 혈압약을 복용하게 되며 고지혈증 약물, 그리고 당뇨가 있는 경우에는 먹는 혈당강하제나 인슐린을 처방 받게 됩니다. 또한 니트로글리세린 등의 혈관확장제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협심증 경과 및 합병증
협심증을 치료하지 않으면 안정형 협심증은 불안정형 협심증을 거쳐 심근경색증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안정형 협심증을 초래하는 동맥경화증이 점점 심해지면서 동맥경화반이 파열될 수 있는 위험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동맥경화증이 심하게 나타난 부위가 반드시 쉽게 파열될 수 있는 동맥경화반을 의미하지는 않기 때문에 불안정형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증이 무조건 안정형 협심증에서부터 시작되는 것은 아닙니다.
특히 휴식시 흉통이 있거나 최근에 점점 심해지는 흉통은 불안정형 협심증을 의미하므로 주의하셔야 합니다. 만약 심근경색증으로 발전하게 된다면 심장기능이 저하되면서 심부전, 급성 심장발작 등의 위험한 상황이 초래될 수 있기 때문에 협심증의 초기 단계부터 약물치료 및 필요시 심혈관성형술이나 스텐트삽입술을 이용해야 합니다.
'의학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로결석의 원인과 증상, 치료 및 예방방법 바로가기 (0) | 2022.07.02 |
---|---|
조울증의 원인과 증상, 치료 및 예방방법 바로가기 (0) | 2022.07.01 |
족저근막염 증상과 치료, 예방방법 바로가기 (0) | 2022.06.30 |
뇌경색의 원인과 증상, 치료 및 예방방법 바로가기 (0) | 2022.06.30 |
후두암의 종류 및 주요 증상, 치료방법 바로가기 (0) | 2022.06.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