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상식

뇌전증의 증상과 치료방법

by 메디걸 2022. 7. 19.

뇌전증 정의

뇌는 세포들끼리 전기적 신호를 주고받으며 활동하는 기관입니다. 건강한 상태에서는 이러한 전기적 신호가 적절하게 만들어지고 제어되지만, 여러 원인에 의한 병적인 상태에서 뇌조직이 과다한 전기를 방출하게 되면 발작이 일어납니다. 발작은 뇌의 염증, 대사 이상, 뇌출혈 등 뇌 활동에 영향을 주는 다른 질환에서도 나타날 수 있지만 일상생활 중 예측할 수 없는 시기에 발작이 반복되는 질환을 뇌전증이라고 합니다.

뇌전증의 주요 증상

뇌전증은 크게 뇌 전체에서 시작되는 전신 발작과 뇌의 일부분에서 시작되는 부분 발작으로 나눌 수 있으며 발작 중 의식 소실 여부에 따라 복합 부분 발작과 단순 부분 발작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1. 부분 발작

뇌전증의 발작은 언제 어디서든 일어날 수 있습니다. 부분 발작시에는 한쪽 얼굴이 씰룩거리거나 팔다리에 힘이 들어가고 뒤로 꼬인다거나, 멍한 상태에서 고개와 눈이 옆으로 돌아가면서 침 삼키는 소리를 낸다든지, 정신을 잃고 흐릿하게 무언가를 쳐다보는 듯하면서 손을 만지작거리는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의식이 소실되는 복합 부분 발작은 모든 연령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꿈을 꾸는 것 같은 상태를 보입니다. 멍하게 한 곳을 응시하고 껌을 씹는 것처럼 움직이고 옷을 줍고 중얼거리는 등의 행동을 연속적으로 합니다. 때로는 이러한 증상이 있는 동안 걸어다니기도 하며 심하게 흥분해서 팔을 흔들고 옷을 벗으려고 하거나 뛰고 소리치거나 공포로 움츠리는 경우도 드물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2. 전신 발작

전신 발작에서는 갑자기 폐에서 공기가 나오는 소리를 내면서 의식을 잃고 바닥에 쓰러져 일시적으로 몸이 경직되고 이후 경련이 시작됩니다.

이때 강직 발작, 간대 발작, 근간대 경련 발작, 견신 발작으로 나뉠 수 있습니다.

강직 발작은 몸이 굳어지는 발작이며 간대 발작은 몸이 꿈적대는 발작, 근간대 경련 발작은 몸통이 앞뒤로 젖혀지거나 넘어지거나 손발이 마치 졸릴 때 갑자기 움찔거리는 것과 같은 발작을 의미합니다. 견신 발작은 소아에서 갑자기 의식을 잃고 눈을 깜빡이면서 이름을 불러도 반응이 없는 발작입니다.

뇌전증의 진단

1. 환자의 병력

뇌전증 진단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환자의 병력입니다. 가끔 뇌전증과 비슷하게 발작 흉내를 내고 꾀병을 부리거나 또는 과도한 스트레스가 반복적인 의식 소실을 가져오는 경우가 있으므로 뇌전증 전문의에게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뇌파검사를 비롯한 여러 검사들은 임상적으로 진단된 뇌전증을 진단할 수 있으며 드물게는 검사에서 이상이 있어도 뇌전증이 발생하지 않는 환자도 있습니다. 따라서 진료를 받을 때는 발작 시간, 발작의 양상과 빈도, 발작 후 증상, 발작 유발 요인, 발작시 이전 증상과의 변화 유무를 상세하게 상담받아야 되니 참고바랍니다.

2. 뇌파검사, MRI 검사

뇌파검사와 MRI 검사는 뇌전증의 원인 및 발생부위를 결정하는 데 있어 필수 검사입니다.

뇌파검사는 뇌전증 발작 또는 발작이 없는 동안에 비정상적인 뇌파가 보이는지, 뇌의 어느 부분에서 이상 뇌파가 보이는지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그러나 실제로 뇌전증 환자라 하더라도 일반 뇌파검사에서 이상이 나타나는 경우는 대개 절반밖에 되지 않으므로 처음 검사에서 나타났어도 뇌전증이 아니라고 할 수는 없으며 반복 검사를 통해 비정상 뇌파를 발견하는 확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MRI 검사는 뇌의 구조를 직접 볼 수 있으므로 뇌종양이나 해마 경화증 등 뇌전증의 중요한 원인을 차지하는 뇌의 이상을 발견하고, 필요하면 수술까지 실시할 수 있습니다.

3. 비디오-뇌파검사, 뇌 혈류검사, 뇌 대사작용검사

그 외에도 24시간동안 환자의 발작 양상을 비디오로 녹화하면서 뇌파를 기록해 환자에게 증상이 발생하는 모습과 그때의 뇌파 변화를 동시에 볼 수 있는 비디오-뇌파검사, 뇌전증이 일어나는 부위의 기능적 변화 유무를 보기 위한 뇌혈류검사, 뇌대사작용 검사도 뇌전증을 진단하는데 사용하고 있습니다.

뇌전증의 치료방법

1. 약물치료

모든 뇌전증 치료의 첫 단계는 약물치료로, 전체 환자의 약 70% ~ 80%는 일반적인 약물치료로 발작을 충분히 조절할 수 있습니다. 그 중 상당수는 일정 기간 투약 후 약물치료를 중단할 수 있으며 발작에서 완전히 치유되기도 합니다. 일반적인 약물치료로 잘 조절되지 않는 난치성 뇌전증이라 하더라도 최근 활발히 적용되고 있는 새로운 치료법들에 의해 상당수가 완치를 하고 있습니다. 간혹 약물치료에 의해 충분히 조절 가능한 환자가 치료 도중 발작이 계속되어 치료를 포기하는 경우가 있는데 효과적인 약물 치료를 위해서는 아래의 사항들을 유의해야 합니다.

1) 약물의 용량

많은 수의 환자들이 치료제의 영향으로 잠이 많아지거나 어지럽거나 위장장애 등을 경험하며 이로 인해 약의 복용 횟수를 줄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뇌전증 치료제는 제대로 복용해야 치료에 필요한 혈중 약물 농도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어떤 이유로든 처방대로 약물을 복용해야 하며 이것이 힘들다면 반드시 주치의와 상담하셔야 합니다.

2) 약물의 종류

현재 시중의 뇌전증 치료제는 수십 종에 이르며 어떤 약물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발작 조절 정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어떤 뇌전증은 특정 약으로만 잘 조절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뇌전증의 종류를 정확히 분류해서 적절한 치료 약물을 선택해야 합니다.

3) 약물의 부작용

일반적으로 뇌전증 치료를 시작하면 항경련제를 2 ~ 3년 이상 복용하는데 항경련제는 결국 뇌의 전기적인 활동에 관여하므로 대뇌 활동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게 됩니다. 최근 개발된 항경련제들은 대뇌에 미치는 부작용이 적어서 비교적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으나 항경련제를 과다 투여하거나 체질적으로 민감한 환자들은 지능 저하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약물 투약 전후 환자의 인지기능과 대뇌 활동의 저하가 있는지 자세히 관찰해 그러한 영향이 최대한 적은 약물을 선택해야 합니다.

2. 수술치료

모든 뇌전증 환자들이 수술을 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적당한 약물을 선택해서 충분한 용량으로 일정 기간동안 치료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뇌전증이 완화되지 않는 '약물 난치성 뇌전증' 환자들과 난치성 뇌전증이라 해도 여러 검사를 통해 뇌전증을 일으키는 부위가 명확히 확인되고 그 부위에 수술이 가능한 경우에만 수술치료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3. 케톤 생성 식이요법

케톤 생성 식이요법은 정해진 비율에 따라 탄수화물을 극도로 제한하는 고지방 저탄수화물 및 저단백의 식사를 유지해 항경련 효과를 지속시키는 치료법입니다. 기존의 어떠한 약물치료에도 조절되지 않는 일부 난치성 뇌전증 환자들이 주로 적용하는 치료방법입니다. 평상시 뇌세포는 당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지만 금식으로 당이 고갈되면 지방으로부터 만들어진 케톤체들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데 이때 에너지 생산이 훨씬 증가해 뇌세포의 기능이 향상되고 항경련 작용이 발생하게 됩니다.

댓글